블피의 블로그
그냥 이것저것. 흥미있는 것들 위주로 합니다.
블피의 블로그
그냥 이것저것. 흥미있는 것들 위주로 합니다.
Docker 자체는 가상화 엔진이다. 하지만 도커가 한번에 하나의 프로그램만 실행시킬 수 있었다면 이렇게까지 인기를 얻진 못했으리라. 여러개의 컨테이너를 올리고, 하나의 컴퓨터 내에서 각각 독립된 환경에서 실행과 네트워킹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용하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떻게 네트워킹하는지에 대해서 생각해보진 못했는데, 이번 기회에 알아보자. 일단, 개개의 컨테이너는 여러가지 환경에 처할 수 있다. 컨테이너가 생성되고 실행되는 환경은 대략적으로 크게 두가지로 정리될 수 있을 것이다. 하나의 Compose 내에서 실행될 때 독립적인 컨테이너로써 실행될 때 개개의 경우의 수에서 각각의 hostname 과 도커 엔진이 제공하는 예약어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기술해보았다. ...
정말. 많은 일들이 있었다. 2025년 상반기 한학기 짧은 시간과 방학 2달 총 6달동안 많은 것들을 해낸 것 같았지만, 동시에 아쉬운 것들도 많았다. 2025년 상반기 목표 체크리스트 알고리즘 스터디 경북대학교 알고리즘 동아리 고리 에 들어가서 다양한 사람들과 네트워크 할 수 있었다. 오픽 IH 이상 따기 미국 가보기 학교에서 미국 샌디에이고에 3주 AI 프로그램을 체험할 수 있었다. ML, LLM 지식 등 백엔드 개발 지식 뿐만 아니라 나중에 AI 기능들을 접목할 때 어떻게 할 수 있을지 배울 수 있었다. 자취 생활 잘 해내기 첫 자취 생활이라 우여곡절이 많았다. 자취를 해서 혼자 생활하다보니 우울한 적도 많았다. 늦은 나이에 처음 겪는 생활과 사회의 쓴맛을 많이 보았다.. 그래도 미리 느끼고 큰 문제는 없었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방학동안 자격증 따기 sqld 자격증을 땄다. (일단 시험을 쳤고, 결과는 나중에 … ^^) 그리고 미국 가면서 GCP ML Engineer Certificate 자격증도 땄다! 학점 4점대 방어하기 이번 학기 평균 학점은 4/4.3 으로 총 평점 4.04/4.3 으로 방어에 성공..! 도메인 정해서 공부하기 백엔드 개발자로 바꾸었는데, 생각보다 잘 되지 않았음 학교 선배님들과 네트워킹하기 적극적으로 참여해서 많은 좋은 분들과 네트워킹을 했다. 해달 해커톤 결과물 적극 활용하기 생각보다 결과물이 좋지 않았어서 어떻게 활용할지 고민해보기로 했다. QI AI 프로그램 이번에 무려 UC San Diego의 하위 연구기관 Qualcomm Institute 연구소에서 진행하는 AI Entrepreneurship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었다. ...
2025학년도 1학기를 보내면서 글을 쓸 기회가 많이 없어졌었다. 사실 자잘하게 글을 쓰고 문서를 하는 일은 많이 했으나, 실제로 완벽한 블로그 글을 작성해야한다. 라는 머릿속의 집착 때문에 글을 쓰는 것이 두려워 진것도 사실이다… 더군다나 불편한 점도 많이 느끼고 있었는데, 이에 블로그 작성 방법을 개선해서 프로젝트(끝이 나는 작업)이 끝나게 되면 자연스럽게 블로그 글도 쓸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려고 하였고, 그러다보니 블로그 구조를 개선하게 되었다. 블로그 개선 이유 1. 블로그 빌드 속도 개선 Ruby 언어로 만들어진 지킬은 Go 언어로 만들어졌는데, 그러다보니 Ruby 를 위한 의존성 설치와 세팅 시간이 많이 잡아먹게 되었고, 최종적으로 빌드 시 1분이 걸리는 불상사가 일어난다. ...
Porring 프로젝트를 하면서 다대다 관계를 만들 때 관계에 대한 엔티티를 만들지 말지를 고민했는데, 결국엔 만들었다. 왜냐하면, 관계 자체를 검색할 일이 많았으니까 관계가 주를 이룬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했다. 하지만 다대다 관계에서는 만들 수도 있고, 만들지 않을 수도 있다. @ManyToMany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만들 수 있다고 들었다. 하지만, 실무에서는 왠만해선 사용하지 말라는 의견이 많은데 그 이유를 알아보자. 물론! 이 부분은 JPA 에 준하는 이야기다. 왜냐하면 JPA 의 엔티티의 영속성 컨텍스트를 살펴봐야하기 때문이다. ...
JOINED 를 이용해 상속받은 JPA Entity 는 어떻게 저장될까라는 궁금증으로 시작했다. Repository 에서 저장 될 때 기본적인 엔티티가 어떻게 저장되는지가 궁금했고, 이왕 알아보는 김에 Hibernate 에서 정확하게 어떻게 구현이 되었는지 살펴보는 것까지 목표로 한다. 서론 결국 문제는 단순 휴먼 에러였다. 왜냐하면, 보이는 것처럼 추측되는 Account 엔티티를 저장하지 않은 채로, AUTO INCREMENT 값을 불러오지 않은채 바로 다른 곳에 사용했기 때문에 일어난 일이었다. ...